젠하이저의 미래 IE300 비교 리뷰 with IE800S, IE900


20년 전에 mx400에서 시작한 젠하이저 덕질이 그간의 온갖 플래그십 리시버들을 거쳐 지금의 IE900까지 오게 만들었다. 
독일 브랜드라 그럴까? 왠지 젠하이저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재미 보다는 신뢰라는 단어가 앞선다. 

항상 실망시키지 않는, 안정적인 퍼포먼스로 쌓인 신뢰 덕에 이제는 신제품이 나와도 들어보지도 않고 추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 중 가장 최근에 출시한, 젠하이저의 오랜만의 플래그십 IE900의 기대 이상의 성능에 행복해 하고 있던 와중에, 평소 관심을 갖고 있던, 앞서 출시했던 동생벌 제품 IE300을 체험해 볼 기회가 생겨서 사용해보게 되었다. 

IE300이 특히 내 이목을 끌었던 이유는 IE800S에 견줄만한 성능을 내준다는 소문때문이었다. 
IE800과 IE800S를 오랫동안 사용했던 유저로서, 설마 젠하이저가 그런 하극상을 했을까 싶으면서도 불안한(?)마음과 궁금증에 언젠가 꼭 한번 들어봐야지 마음먹고 있었더랬다. 

짧은 기간동안이었지만 체험을 해본 결과, 어떻게 그런 소문이 나올 수 있었는지 충분히 납득이 갈만한, 특히 가격대를 생각하면 놀라운 가성비의 제품이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IE900과 동일한 플랫폼이라 케이블이나 이어팁 같은 액세서리가 공유 가능하고, 사운드적으로는 새로운 젠하이저의 사운드 기조를 잘 보여주면서, 음질도 수준급으로 잘 다듬어져 있어서 이전세대의 상급 제품과 비교를 해봐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는 느낌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저음의 디테일이나, 소리의 힘에서 조금 아쉬운 감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가격대를 생각하면 도저히 단점이라 할 수 없는 아주 사소한 부분에 불과하다. 
가격때문에 어쩔 수 없었던 건가 싶지만, 밸런스드 케이블을 연결했을때 체감이 많이 될 정도로 소리가 좋아져서, 개인적으로는 밸런스드 케이블이 기본 구성품에 포함되지 않은 점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었다. 

이상 간략하게 느낀 IE300에 대한 인상평이었고, 더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으로 담아보았다. 
평소 맨날 듣고 있는 것이 IE900, IE800S 와 같은 제품들인데다가 같은 브랜드이기도 해서 매우 불공정한줄 알면서도 IE300과 IE900, IE800S 세 제품을 비교하며 리뷰를 진행했다. 언박싱, 스펙 등 매번 반복되고 겹치는 이야기들은 최대한 배제하고, 제품의 포지션과 색깔에 최대한 초점을 맞춰 정리해봤으니 IE300에 대한 추가적인 궁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바란다. 







*본 리뷰는 셰에라자드에서 제품을 대여받아 진행하였으며,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100% 순수 개인적으로 느낀점을 정리하였습니다. 


제품 정보



보안관은 죽지 않는다 <총과 도넛>

할리우드 영화를 보다 보면 장르와 시대를 막론하고 단골로 등장하는 직업이 보안관이다.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스타워즈 시리즈에도 어김없이 보안관이 등장하는 것을 보고는 미국은 옛 서부 개척시대의 향수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나라라고 생각했었다. 한국으로 치면 대충 조선시대의 암행어사나 사또를 현대극에 다시 등장시키는 느낌이었달까. 여기까지 말하고 나면 미... » 내용보기

우리가 같은 선 위에 설 수 있기까지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배터리가 떨어지면 곧잘 느려지거나 멈춰서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느 종교들과는 비교가 안되는 강력한 신앙의 대상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시간이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 등에서는 따로 관리해 줄 필요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시간을 맞추는' 일은 일상적인 행위로 여겨진다. 사실 여기에는 어폐가... » 내용보기

통쾌와 불쾌 그 사이 어딘가 <믿습니까? 믿습니다! _ 오후>

'오래전에 살던 사람들은 실제로 하늘에서 용을 봤습니다.'학부시절 수강했던 수업의 첫 시간의 시작에 교수님께 들었던 말이다. 있을 리 없는 용을 실제로 봤었다고 하니 모든 학생들이 황당해 했지만, 그분이 하고자 했던 말은 어떤 현상을 해석하는데 있어 시대적 한계와 속한 맥락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지금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들의 믿음이 현실에 기반... » 내용보기

가족의 자격 <이상한 정상 가족 _ 김희경>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아동학대 문제는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아동학대 자체가 외부에서는 알기 어려운 개인의 영역에서 벌어지다 보니 더욱 다루기가 어려운데, 이런 문제를 심화시킨 이유를 다름 아닌 한국의 '가족' 중심 문화에서 찾고 있는 책이 <이상한 정상 가족>이다.뉴스에 보면 여러 차례의 신고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대처가 되지... » 내용보기


통계 위젯 (화이트)

03
15
149695

ad2